SAP FI

SAP FI 용어집

모델엑스 2025. 2. 11. 16:42

안녕하세요~

오늘은 SAP FI 에서 사용하는 용어에 대해 알려 드릴게요

따로 설명은 필요 없을것 같아 표를 붙혀 드리는 것으로 정리 하겠습니다~^^

 

 

용어 용어 정의
  Access key Access Key 과표를 입력했을때 자동으로 Tax Account를 결정하는 기준
  Account 계정 전통적으로 계정(Account)이라고 하면 경리(재무회계)에서 기표가 이루어지는 대상이 되는 계정과목 또는 계정코드를 의미한다. 그러나 SAP에서는 Account의 개념을 보다 확장하여 사용하고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SAP에서는 다음과 같이 Account를 다섯 가지의 유형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이러한 유형구분을 Account Type 이라고 한다.
- S : G/L 계정 (전통적인 계정과목/계정코드   )
  D : Customer (판매거래처, 기존의 거래처코드)
  K : Vendor   (구매거래처, 기존의 거래처코드)
  A : Asset    (고정자산번호, 기존의 자산번호)
  M : Material (재고자산(자재) 번호          )
이렇게 Account의 개념범위를 확장한 것은 계정과목중심의 총계정원장(General ledger)상의 금액과 거래처나 고정자산번호, 자재번호 중심의 보조부(Sub-ledger)상의 금액을 일치시키고, 물류프로세스의 재무회계와의 통합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즉, 전통적으로 AR(매출채권), AP(매입채무), 고정자산 등과 관련된 회계전표를 기표하는 경우 해당 계정코드를 지정하고 금액을 입력한 후, 거래처나 고정자산 관련정보를 전표상의 관리항목으로 관리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는데에 반하여, SAP는 해당 Customer, Vendor, Asset 번호를 마치 기존의 계정코드인 것처럼 기표를 하면, 그와 연결이 되는 계정코드(SAP의 G/L Account)는 자동으로 결정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Account assignment 계정지정 - FI : 차변 항목에 특정 일자에 기표된 거래의 비용과 소득을 할당하는 것. 차변 항목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cost centers
  orders
  projects
  cost objects
- CO : 업무 거래시 어느 계정에 전기(posting)할 것인가를 지정하는 것. cf) 추가계정지정 (Additional account assignment)
  Account assignment, automatic 자동계정지정 FI에서 거래를 전기(posting)하는 경우, 사용자가 입력을 하지 않고 시스템이 적절한 계정으로 개별항목을 자동적으로 지정하는 기능
  Account balance interest calculation 계정잔액이자계산 계정잔액의 이자를 계산하는 절차. 예를 들어 회사 종업원의 대출금에 대한 이자를 이 기능에 의하여 계산할 수 있음. 
  Account balance 계정잔액 한 계정에 기록된 거래들을 개괄적인 형태로 거래기록대상기간(posting period), 차변 및 대변으로 구분하여 표시하여 줌. 거래기록대상기간의 잔액과 누적잔액도 표시하여 줌.
  Account determination  계정결정 거래 입력시 금액이 입력되어야 하는 계정을 자동으로 결정해주는 기능
  Account group 계정그룹 마스터 레코드(Master Record) 입력을 제어하는 속성들의 요약으로 각 마스터 레코드는 하나의 계정그룹(Account Group)에 지정되어야 한다. 계정그룹에 따라 마스터 레코드에 어떠한 Data가 필요한지가 결정되면 마스터 레코드의 번호가 정해진다.
  Account ID 계좌번호 은행의 계좌별로 계좌번호를 일컫는것
  Account maintenance 계정유지 한 계정내의 미결사항을 반제하는 것. 즉, 차변입력내용과 대변입력내용을 대응시킴. 
  Account management 계정관리 계정은 그 관리방식에 따라 미결관리(Open item management)를 하는 계정과 미결관리를 하지 않는(Non-open item Management) 계정으로 나눌 수 있다. 미결관리를 하게 되면 그 계정에 기표된 건별 항목들은 반드시 반제처리(Clearing)에 의해서 그 미결상태가 정리(Cleared)된다. 현금이나 예금과 같은 계정은 업무상으로 미결관리의 의미가 없거나 불가능하므로 미결관리를 하지 않는 계정으로 설정하게 된다. Customer나 Vendor의 경우에는 선택여부에 관계없이 시스템적으로 무조건 미결관리를 하는 것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G/L 계정의 경우에만 미결관리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Asset의 경우에는 명시적이지 않으나 미결관리를 하는 개념이며, Material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한편, 계정을 조회하는 경우 잔액조회 뿐만이 아니라, 기표 건별로 조회를 하는 경우도 있는 바, 이러한 선택사항을 Line Item Display라고 한다. 따라서 예금계정의 경우 미결관리는 하지 않으나 건별 조회는 가능하도록 설정(G/L계정마스터에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거의 모든 계정에 대해 건별 조회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이 경우 정보조회에 편리한 반면 DB의 Space를 많이 차지한다는 단점을 가진다.
  Account payable 매입채무 기업이 vendor에게 갚아야 할 모든 금액으로 은행차입금, 당좌차월, 외상매입금, customer로부터 받은 계약금 등을 모두 포함함
주) Accounts payable은 일반적으로 외상매입금, 미지급금을 포함한 기업의 모든 채무를 지칭하는 것으로 사용하고 있음
  Account reconciliation 계정조정 회계처리가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GAAP)에 따라 적절히 되었는가를 확인하는 과정으로 일반적으로 총계정원장(G/L)상의 잔액과 보조부상의 잔액을 비교하고 차이를 조정하는 것을 말한다. SAP 시스템에서는 거래를 전기하면 보조부(예를 들면 customer계정이나 vendor계정)에 입력이 되는 동시에 G/L계정(외상매출금계정이나 외상매입금계정. 보조부의 계정과 연결되어 있는 계정을 SAP에서는 특히 조정계정(reconciliation account)이라 함)에 입력이되어 자동조정이 되므로 별도의 계정조정절차가 필요없게 된다.
유사어) 회계조정(Accounting reconciliation)
  Account residence 계정유지기간 한 계정내의 개별항목들 -즉 전표- 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도록 전표파일에 남아있어야 하는 달 수. 기표일(posting date, 혹은 미결계정에 있어서는 반제일)이 기준일의 역할을 한다.
  Account type 계정유형 하나의 계정이 어떤 회계 영역에 속하는지를 알려주는 키로서 예를 들면 Asset(고정자산), Customer(고객), Vendor(구매처), Material(자재), G/L 등이 있다. 동일한 계정번호가 서로 다른 계정유형에 사용될 수 있으므로 계정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계정번호와 계정유형이 모두 필요하다.
  Accounting Accounting 회계시스템그룹(경리,관리,자금...)
  Accounting document 회계전표 (회계)전표는 항상 표제부(document header)와 적어도 두개이상의 개별항목(line item)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표의 잔액은 반드시 0 이어야 한다. 기표(posting)를 하는 경우, 대상 계정의 월 차변 및 대변잔액이 자동적으로 새롭게 수정된다. 전표는 시스템내에 원시증빙(original document)을 반영하여 준다. 
  Accounting principle 기표원칙 SAP는 Customer, Vendor, Asset 등의 보조부관련 계정을 중심으로 기표하면, 시스템이 자동으로 General Ledger와 Sub-ledger에 동시에 금액을 반영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를 Accounting Principle 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Accounting Principle 하에서는 총계정원장과 보조부가 원천적으로 금액이 다를 수가 없으므로, 결산시 많은 시간을 차지하는 Reconciliation 작업이 필요 없게 된다. 이러한 기표방식은 물류와의 통합상황을 가정하면 더 큰 장점을 가진다. 즉, 판매, 구매, 재고관리 등의 업무처리시에는 거래처(Customer, Vendor)나 자재번호를 중심으로 거래처리를 하고 이를 기준으로 재무회계전표가 생성될 때 사전에 정한 G/L 계정으로 자동기표가 생성되게 된다. 참고로, 외상매출금, 외상매입금 등 거래처와 관련된 계정들은 사전에 Customer나 Vendor Master Record에 정의된 계정으로 자동결정되며, 이를 Reconciliation Account 라고 부른다. 고정자산의 경우에는 Asset Class를 경유하여 사전에 정의된 고정자산과 관련된 여러 계정(건물, 감가충당금, 고정자산 처분손실 등)이 자동으로 정해지도록 되어 있으며, 자재(Material)와 관련하여서는 별도의 Customizing 작업에 의해 관련 G/L 계정들이 자동 결정된다.
  Accounting transaction 회계거래 다른 EDP거래와는 달리 (회계)거래는 항상 표제부(Document header)와 적어도 2개 이상의 개별항목(line item)으로 구성되어 있다. 차변금액은 반드시 대변잔액과 같아야한다. 거래를 전기(posting)하면 시스템이 계정잔액을 새롭게 수정한다.
  Accruals and deferrals Accruals & deferrals 미지급비용, 미수수익 및 선급비용, 선수수익 기간이익을 계산하기위해 회사의 수익과 비용을 배분하는 것.
  Acoount Assg.group 계정할당그룹 매출집계부문설정
  Additional account assignment 추가계정지정 계정번호, 금액, 포스팅키(posting key) 이외에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입력되는 개별항목(line item)과 관련된 모든 추가 Data(예:지급조건, 지급방법, Cost center) 등이 포함된다. 
  Additional tax 부가세 판매 및 구입에 따른 세금(부가가치세)이외에 부과되는 세금. 이러한 세금으로는 투자세(investment tax), 결제세(clearing tax) 또는 베네룩스국가들에서 사용되는 회계제도하에서 부과되는 세금 등이 있다
  Adjustment charge 수정차변기표 세금수정금액(tax adjustment amount)과 같이 이미 기록된 하나이상의 거래에 추가적인 차변기표를 하는 것. 
  Adjustments 조정 한 계정에 이미 전기된 개별항목(line item)을 다른 계정으로 전기하는 것. 예를들어 결산을 하는 경우에 조정이 이루어 진다.
유사어) transfer(대체)
  Allocation concept 배분(할당개념) 한 계정내의 개별항목들(line item)을 어떻게 구분하여 표시할 것인가에 관한 것. Cf) sorting concept (분류개념)
  Archiving (CA) Archiving Online상에서 더이상 필요치 않은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읽어서, Archive file로 저장한다. 일반적으로, Archive된 데이터는 시스템에서 삭제된다.
Archiving 수행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들은 그만큼 비워지고 데이터 볼륨이 줄어든다.
따라서, 프로그램 실행시간이 단축되며 새로운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Archiving은 2단계 절차로 수행된다
·Archive  데이터가 논리적 선택 기준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서 읽혀지고 Archive file로 기록된다.
·Archive file을 읽어서, deletion flag가 있는 데이터들을 데이터베이스에서 삭제한다.
  Assets (총)자산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재화, 채권 및 법률상의 권리(대차대조표의 외쪽에 나타남)
  Asset Class 자산분류 FI의 GL계정과 고정자산의 Master record와의 관계를 설정한다.
  Authorization 권한 실제로 시스템이 사용되는 상태에서는 각 사용자의 직급 또는 속한 부서등에 따라 시스템상에서 접근할 수 있는 정보나 거래처리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SAP R/3 시스템에의 접근권한을 통칭하여 Authorization 이라고 한다. SAP가 표준으로 제공하고 있는 기능 및 Configuration을 활용하여 Authorization의 체계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것이 필요한 경우에는 일부 시스템을 수정할 필요가 있게 된다.
  Average rate 산술평균 외환거래에 쓰이는 환율로 은행매입율과 은행매도율의 산술평균. 
  Background processing 백그라운드 처리 화면상으로 보여지지 않는 처리.
다른 기능이 화면상에서 병행되어 수행되는 동안 데이터가 Background로 처리될 수 있다.
  Balance 계정잔액 한 계정이나 전표의 차변과 대변의 차이. 만일 대변이 차변보다 크면 "대변잔액"이라고 하고, 차변이 크면"차변잔액"이라고 함.
  Balance audit trail 잔액시산표 회계연도 중 한 기간이나 여러 기간 동안에 특정 계정의 모든 거래내역을 기록한 것. 잔액변화기록은 기초의 잔액과 기말까지 그 계정에 전기된 차변과 대변 Entry의 변화를 보여준다.
  Balance carried forward 잔액이월 전년도로부터의 계정잔액의 이월. 대차대조표의 계정잔액만이 이월된다. 
  Balance check 잔액검토 전표가 올바로 입력되었는가를 확인하는 절차. 전표의 차변금액은 반드시 대변금액과 같아야 한다. 
  Blance sheet 대차대조표 자산, 부채, 자본의 계정잔액을 목록화한 보고서
  Balance sheet account 대차대조표계정 반대어 : 손익계산서계정(profit and loss account) 
  Balance sheet adjustments 대차대조표조정 대차대조표를 만들기전의 준비작업. 다음과 같은 작업들이 포함된다
- 외화로 전기된 채권, 채무, 고정자산 금액을 환산하여 조정
- 조정계정(reconciliation account)에 바뀔경우 채권과 채무를 조정
- 대변잔액을 가진 있는 customer계정이나 차변잔액이 있는 vendor계정의 조정
- 잔여일수에 따라 채권과 채무를 분류하기 위해 조정
  Balance verification 잔액검증(잔액확인) 회계전표가 정확히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 차변과 대변의 금액이 반드시 같아야 한다.
  Bank collection procedure 은행회수절차 채권자가 채무자로부터 서면으로 (은행을 통한) 채권회수승인을 받는 특별한 절차. 은행이 직접 입금을 해주는 경우 이러한 승인을 받아야 한다. 
  Bank direct debiting procedure 은행직접입금절차 채무자가 자기의 은행구좌로부터 직접 (거래처구좌로)입금을 하라고 서면으로 자신의 거래은행에 지시를 하는 특별한 절차. 
  Bank master data 은행마스터데이타 은행과 관련된 거래를 수행하기위해 필요한 은행에 관한 정보. 이것은 은행 디렉토리에 저장되며, 필요한 모든 은행에 관한 정보를 갖고있다. 은행 마스터 데이터에는 은행이름, 주소와 그 나라에 고유한 사항 등이 포함된다. 
  Baseline date for payment 지급기준일 지급조건에 있어서의 기준일.
  Batch processing (BC) Batch 처리 한번에 많은 분량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절차.
일단 시작된 Batch 데이터 처리에는 영향을 미칠 수 없다.
  Bill discounting 어음할인 참고 : Discounting(할인)
  Bill of exchange 환어음 본래의 법률상의 거래에서 파생되는 것으로 추상적인 문서의 형태로 지급을 약속하는것.
[주]SAP에서는 일반적으로 약속어음을 의미하는 primissory note라는 용어를사용하고 있지 않음. 따라서 bill of exchange은 환어음과 약속어음 모두를 지칭하는 용어로 해석됨. 
  Bill of exchange collection (환)어음 추심회수 어음대금을 회수하는 방법중의 하나로서 은행이 만기에 지급인에게 어음을 제시 하는일을 인수하는 것. 은행이 어음회수를 인수하게 되면 고객에게 회수비용(수수료)를 부과하게 된다.
  Bill of exchange deposit (환)어음대금회수기록 어음대금의 회수는 SAP 시스템에서 다음과 같이기록된다
-만기전 할인
-만기결제
-어음의 양도(수출업무에서)
  Bill of exchange discount 어음할인 참고 : Discounting(할인)
  Bill of exchange list (환)어음목록 모든 어음채권에 대하여 만기일, 금액 발행인(수취인)의 이름과 주소, 이전 보유자의 이름과 주소, 지급지, 지급인의 이름과 주소 등을 기록한 것. 
  Bill of exchang payment 어음입금처리  □ Doc. date 작업일짜
 □ Posting date 회계기표일자(Doc. date 와 동일)
 □ Currencu/rate 금액
 □ Referrence Doc. 어음번호
 □ Pstky 회계계정(Display)
 □ Account 거래선 번호
 □ Text 적요
 □ Issue date 어음발행일
 □ Drawer 부서코드
 □ Drawee 어음발행회사
 □ G/L 회계계정
 □ Amount 어음금액
 □ C.code 삼성전자코드
 □ Special G/L ind 회계계정
 □ Account type 거래선별(D)
 □ Open items 세금 계산서 건별 미수 채권금액
 □ Amount entered 어음입금액
 □ Allocated입금처리할 미수 채권 금액
 □ Not assigned 해당미수 채권 금액과 어음입금액의 차이 
  Bill of exchange payment request 어음발행요청 고객에게 채무를 어음으로 지급할 것을 요청하는 것. 이 절차는 스페인, 이태리, 프랑스에서 보편적으로 쓰임. 어음발행요청은 SAP 시스템에서 주의 항목(noted item)으로 기록된다.
  Bill of exchange receivable 받을 어음(또는 미수금 어음상의 채권) Customer로부터 회수하기로 되어 있는 어음. 차용증서(IOU)와 비슷함
  Bill of exchange usage (환)어음의 대금회수방법 SAP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할인을 위한 제시
-추심회수를 위한 제시
-어음의 양도(factoring of forfaiting, 수출업무에서) 
  Billing  대금지불 ZORB order type 입력시 수주금액 입력항목(자재)으로 사용
  Billing date 대금지불 일자 세금계산서 발행일짜
  Billing item 대금지불 아이템 세금계산서 금액 내역을 구성하는 자재 
  Branch account 지점계정 SAP R/3에서 customer나 vendor의 본점과 지점의 관계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계정. 지점계정으로 입력된 구매요청서, 배달증명서, invoice 등은 본점계정으로 전기된다. 모든 지점계정은 반드시 본점계정에 연결되어 있다.
  Budgeted balance sheet 예산대차대조표 어느 특정일에 모든 계획들(판매계획, 생산계획, 투자계획, 인적자원계획, 현금흐름표)을 고려하여 만든 대차대조표.
  Budget Controlling 예산관리 주어진기간, Project, Cost Center 등의 소요원가를 수립하여 관리하는 일.
  Business area 사업영역 특별한 활동을 수행하는 회사내부의 부서와 같이 하나의 회사코드내의 경제적 단위로서 내부대차대조표나 내부손익계산서를 만드는 경우에 사용된다. 이러한 보고서들은 법률상의 요건들(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을 충족시키는 것은 아니다.
유사어손익센터(profit center)
(주사업부와 반드시 일치하는 개념은 아니나 FI측면에서 회사단위이하에서 관리하고자 하는 하나의 회사조직상의 단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될 것임) 
  Cash concentration 현금집중관리 현금집중관리에 있어서는 여러 은행 구좌들의 잔액이 사전에 정한 최소잔액을 초과하는 경우 하나의 목표계정(target account)으로 집중되어 관리된다.
결과적으로 목표계정은 현금관리잔액(cash management closing balance)을 유지하게 되어 여러가지의 재무적 투자활동에 사용된다.
  Cash discount 현금할인 - CO : 일정기일까지 대금이 지급될 경우 예정 대금액으로부터 공제되는 돈.
- TR : 사전에 약정된 특정기간내에 채무자가 대금지급을 하는 경우의 지급금액의 감소액(사전에 약정한 이자상당액을 차감한 금액을 지급하게 됨)
  Cash discount base amount
(Cash discount basis)
현금할인기준금액 현금할인의 대상이 되는 원본 금액(invoice상의 금액)
  Cash discount terms 현금할인조건 특정기간내에 지급이 이루어지는 경우 현금할인을 받을 수 있는 권리. SAP R/3에서는 3개까지의 지급조건을 사용하여 여러 형태의 현금할인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해준다.
  Cash forecast 현금예측 현금예측은 유동성의 측면에서 보조부계정들의 변화모습을 보여준다. 현금 예측은 앞으로 회수되거나 지급될 금액과 관련된 기대되는 현금흐름에 기초를 두고 이루어 진다.
  Cash management and forecast 현금관리 및 예측 유동성 혹은 준유동성 재무자원에 관한 중단기 계획. 유사어) cash management position (현금관리 포지션)
  Cash management position 현금관리포지션 현금관리포지션은 은행계정의 단기적인 변화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표시는 다음의 두가지 원천으로부터 자료를 가져온다.
-현금관리와 예측과 관련된 G/L계정의 FI기표
-지급통지(payment advice)와 같은 계획목적으로 입력된 메모기록
  (memo record).
  Cashed checks 수표대금회수보고 은행에 제시된 금액이 실제로 현금으로 회수된 것을 보고하는 절차. 이를 위해 은행은 테이프나 디스켓과 같은 데이터 매체(data medium)를 생성하는데 이를 통해 필요한 입력이 SAP R/3 시스템으로 이루어 진다.
  CBO CBO SAP가 표준으로 제공하고 있는 기능이나 프로세스가 회사의 실정에 비추어 부족하거나 부적합 하다고 판단이 되는 경우에는 일부기능을 개발하거나 표준 기능/프로세스를 변경하는 경우가 있다.
- CBO(Customer Bolt-On) : Enhancement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SAP R/3의 표준기능, 테이블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상태에서 추가하고 기능을 개발하는 것을 말한다. 추가적인 Report의 개발은 일반적으로 CBO라고 표현하지 않는다.
- Modification : SAP의 표준기능을 직접 변경하는 것으로서, 기술적으로는 Source code나 표준 Table의 필드를 변경하는 작업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SAP사는 Modification은 권고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SAP의 전체적인 기술구조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없는 상태에서 표준 Source code나 테이블을 건드리는 작업이 예기치 못한 다른 영향을 미칠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Modification의 내용은 Version up시 반영이 되지 않으므로 이를 계속적으로 유지보수 해야 하는 부담도 회사가 감수해야 한다.
  Change document 변경전표 Master record, Table, Transaction 등의 변경 사항을 담고있는 문서.
  Change master record 변경마스터레코드 변경관리에 요구되는 모든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레코드. 데이터는 영역에 따라 달리 저장된다. Change master record는 기술 데이터(변경이유 등)와 제어기능 데이터(valid-from date, indicator for object type 등)를 포함한다. 또한, 시스템이 자동으로 갱신하는 데이터(change data)를 포함한다.
  Change number 변경번호 변경마스터레코드(change master record)를 구별하게 해주는 유일한 번호. Change number를 이용하여 변경되는 모든 변경 사항들은 change master record에 의해 관리되고 조정됨.
  Chart of accounts 계정과목일람표 회사의 경리(또는 재무회계)시스템에서 기표가 이루어지는 계정과목/계정코드들을 모은 것을 일반적으로 Chart of Accounts(COA)라고 하는데, SAP에서도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다만 좀 더 정확하게 표현하면 G/L Account 들의 묶음이라고 할 수 있는데, G/L Account의 구체적인 의미는 다음에 살펴보기로 한다.
SAP를 Customizing하는 경우 Company code를 정의하면서, 그 회사가 어떤 COA를 사용할 것인가를 정의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하나의 시스템을 여러 회사가 공유하는 경우, 두개 이상의 회사가 같은 COA를 사용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COA와 Company code의 관계는 1:N 이다. 이런 이유로 SAP의 FI의 조직구조를 설명하는 경우 COA를 Company code의 상단에 표시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COA와 Company code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것일뿐 COA가 조직코드는 아닌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회사가 실제 기표에 사용하고 있는 COA를 Operative Chart of Accounts 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연결회계 등의 그룹차원의 Data 집계를 위해 Operative COA 기준으로 기표된 것들을 그룹계정으로 전환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그룹계정의 묶음을 Group Chart of Accounts 라고 한다. 한편 Operative COA 이외에 그 나라에서 통용되는 계정들로 전환을 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목적의 COA를 Country Chart of Accounts 라고 한다.
  Chart of accounts index 계정과목일람표 하나 혹은 여러 회사코드에 사용되는 모든 G/L계정 마스터 레코드를 체계적으로 모은 목록. 계정과목일람표는 계정번호, 계정과목명과 각각의 G/L계정 마스터 레코드에 관한 통제정보를 갖고 있다. 하나의 client에 대해 여러개의 계정과목일람표를 만들 수 있으며 각 회사코드는 반드시 하나의 계정과목 일람표에 지정되어져야 한다.
  Chart of accounts index 계정과목일람표목록 한 client내에서 사용되는 모든 계정과목일람표의 목록. 
  Check of accounts index(check with bill of exchange)  수표지급부환어음 구매자금융을 할 수 있게 해주는 금융절차(독일에서 보편적으로 사용). 구매자는 수표로 대금을 지급하는 동시에 판매자에게 환어음을 발행하도록 한다 (구매자가 환어음을 만들어 판매자가 발행인으로서 어음상에 서명을 하는 형식을 취한다). 구매자는 동 환어음을 인수하여 은행에 어음을 제시하여(환어음상에 구매자는 수취인으로도 표시되어 있는 것으로 보임) 할인을 함으로써 만기일까지 구매자금의 차입의 효과를 얻는다.
참고반환어음(returned bill of exchange) 
  Chart of Depreciation 감가상각일람표 감가상각영역(Dep.area)포함하고 있으며 주어진 국가 혹은 경제영역에서 필요한 모든 평가조건(Valuation terms)과 상각조건(Depreciation terms)를 정의 및 관리한다. 새로 생성시에는 기존의 것을 Copy해서 사용한다. Client에는 n개의 COD를 갖지만 일반적으로 한국가에 하나의 COD를 갖는다. 또 각각의 Company Code는 하나의 COD를 가지면 관계는 n:1이자만 보통 1 COA와 1COD를 사용한다.
  Clearing 반제 계정내의 미결사항을 정리(예:지급)하는 절차. 미결항목은 계정의 반대쪽 차변 또는 대변의 동일한 금액을 입력함으로써 반제된다. 예) 고객이 제품관련 대금을 지불하면 이와 관련된 외상매출금이 반제된다. 유사어) 정산(Settle)
  Clearing account 관리목적용 임시계정 일시적인 기표가 이루어지는 계정. 관리목적용 임시계정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반복적으로 반제가 이루어 지는 보조계정이다
- 거래상의 시간차이( 미송장입고 재고자산계정, 미입고 매입채무계정)
- 조직상의 업무배분(은행정리계정)
- 불분명한 거래
유사어) 중간계정(interim account)
  Clearing business area 반제업무영역 업무영역간의 채권과 채무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표상의 추가계정지정. 
  Clearing procedure  (Clearing function) 반제 절차         (반제기능) 미결항목을 반제하는 절차. SAP R/3 시스템은 두가지 절차를 제공한다.
- 계정의 반제(Clearing an account)
- 반제기표(Clearing with posting : 미결항목을 반제시키면서 전표를 전기(posting)하는 것
계정을 반제하는 경우 개별항목들은 동일한 통화로 입력된 항목만을 반제 할 수도 있고, 추가적인 기표(Data의 입력)은 불가능하다. 이 기능은 관리목적용 임시계정(Clearing account)을 처리하는데 사용된다. 하지만 반제기표에서는 기표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대금회수기표를함으로써 관련된 매출채권을 정리한다. 즉, 첫번째 절차는 임시 계정을 반제할 때 사용할 수 있다. 반제와 동시에 전기(posting)가 되는 두번째 절차에는 예를 들어 고객으로부터 받은 대금의 전기(해당 미결항목의 반제)와 이 대금으로 결제된 송장의 반제를 하나의 Transaction 으로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
  Clearing transaction 반제거래 대금의 회수 또는 수표의 지급과 같이 반제절차를 수행하게 하는 거래.
  Clearing 반제 계정내의 미결사항을 정리(예지급)하는 절차.
미결항목은 계정의 반대쪽(차변 또는 채변)에 동일한 금액을 입력함으로써 반제된다. 예 고객이 대금을 지불하면 이와 관련된 외상매출금이 반제된다.
유사어정산(settle) 
  Client 클라이언트 하나의 그룹 또는 회사의 같은 SAP R/3시스템에서의 가장 상위의 법률상의 혹은 조직상의 독립된 단위                                        '- R/3시스템에서 지칭하는 조직적으로 최상위 독립 단위.
- 통상적/조직적/기술적인 용어로서, 개별적인 master record와 테이블들을 갖는 R/3 시스템의 독립적인 단위.
- 일반적으로 C/S 환경하에서 End User들이 사용하고 있는 PC들을 Client라고 부르지만 SAP R/3상에서의 Client는 이와는 다른 의미를 갖는다. 한 회사에 SAP를 설치한다고 하면 일반적으로 하나의 Database Sever를 설치하는 것을 의미하는데(SAP는 3-tier Acrchitecture를 기본으로 하고 있는데, 이는 DB Server-Application Server-Presentation의 구조를 의미한다), DB상에서 Data들이 나누어지는 최상위 단위가 Client 이다. (예외적으로 국가나 통화등에 대한 정의사항등과 같이 특정 client 와 무관하게(client independent) 관리되는 Data들도 있다) 따라서, SAP R/3 시스템에 Logon을 하는 경우 User name, Password와 함께 반드시 Client(숫자 3자리)의 이름을 입력해야 한다. 기술적으로는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 Data들이 저장되어 있는 Table 등의 대부분은 Client를 Key field에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업무적으로는 Client는 Data집계의 최상위 단위이므로 그룹전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으나 (SAP내에서 사용되는 조직구조를 설명하는 경우 Client가 계층구조상의 최상위 단위로 제시되는 경우가 흔함), 실질적으로 그룹 대부분의 회사가 하나의 DB Server하의 하나의 Client를 사용하고 있는 상황이 아니라면 그 의미는 아니라고 볼 수 있다.
  Closing 마감 다음과 같은 마감 절차들과 관련된 업무들의 계획과 수행
- 일일마감
- 월간마감
- 년말마감
  Closing period (PP) 결산 기간 분석 대상의 라이프사이클을 open과 closed 기간으로 구분하는 기간.
분석 시작과 결산 기간 사이의 데이터는 동결된다.
결산 기간 이후의 기간에 대한 분석 데이터는 그 이후부터 계산될 수 있다.
  Closing(operations)  결산(마감)절차 일일마감, 월말결산, 연말결산에 필요한 모든 절차의 준비와 수행.
  Collection 매출채권 회수 만기가 된 매출채권, 특히 어음의 회수.
  Commitments 약정사항 다음과 같은 모든 형태의 약정사항과 부채;
-미실행 주문(outstanding orders, 확인된 주문에 대한 배달약속)
-미실행 구매주문(open purchasing orders, 주문에 대한 인수약속)
-어음채무(bill liability, 은행의 총어음사용한도승인금액)
  Company 회사 Company는 관련 상법에 따라 개별적 재무제표를 작성할 수 있는 최소의 조직 단위이다. Company는 하나 이상의 company code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Company 안에 있는 모든 Company Code는 동일한 Chart of Accounts와 동일한 Fiscal Year를 사용해야 한다.
  Company code 회사코드 하나의 Clent 내 독립적인 조직체(독립적인 회계단위). 법률상으로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를 작성하는 것이 요구된다.
독립적인 회사들의 계정들을 동시에 관리하기 위해서 여러 개의 회사코드를 하나의 Client에 만들 수 있다. 
  Cmpany code currency 회사코드 통화 해당회사에 적용되는 기준 통화. 참고) 현지통화(Local currency)
  Condition type


조건 유형 가격 유형을 입력하는 field
가격 유형을 입력하는 field
  □ PR00 판매 제품의 표준 판가 금액
  □ ZCOS 판매 제품의 견적원가
  Conditions 조건 공급업체(vendor)와 협상이 이루어지는 지불조건(초과청구나 할인). Condition은 net price나 effective price에 영향을 미친다.
  Contingent claims 우발채권 대차대조표에 표시되지 않은 채권. 지급보증을 받은 금액이 한 예이다. 
  Contingent liability 우발채무 대차대조표에 표시되지 않은 우발상황이나 채무. 어음상의 피소구권, 지급보증, 제품보증 등이 포함된다. 
  Control account 통제계정 외상매출금, 외상매입금, 고정자산계정과 같이 보조부에 기록된 거래금액의 (부분)합계를 관리하는 G/L계정.
참고) 조정계정(reconciliation account) 
  Control totals 합계통제 전표금액이 올바로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합계금액. 기표를 하는 경우 시스템이 자동적으로 합계통제금액을 계산한다. 
  Controlling 통제(관리) FI :경영의사결정과 그 수행을 준비하기위한 회사경영의 하위기능.       CO :조직체의 의사결정과정을 위한 경영도구. 다음과 같은 서로 다른 관리기능에 사용된다.(계획, 조정-Monitoring, 보고, 지원-Advising, 정보제공). 이러한 관리기능들은 재무관리, 투자관리, 원가와 수익성관리로 이루어지는데 통합된 경영시스템의 형태로 조직전반의 모든 활동영역(구매, 생산, 판매 등)에서 수행된다.
  Conversion date 환산일 하나의 금액을 다른 통화로 환산하는 기준일. 
  Conversion rate 환율 두 통화의 교환비율로 하나의 통화를 다른 통화로 환산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Corporate income tax 법인세 소득세의 일종으로 당해과세기간 즉 사업년도에 기업이 획득한 수익과 비용의 차액 즉 이익에 대해 부과되는 국세
  Correspondendce 통신문서(거래처간 왕복문서) 회사가 발송하고 수신하는 서면으로 작성된 모든 의사소통 수단, 주문 확인서, 지급통지서, 독촉장 등이 포함된다.
  Cost center 원가중심점 원가가 집계되고 관리되는 최소단위. 회사이하의 조직단위를 표현할 수 있는 것으로는 Cost Center가 있다. 전통적인 회계시스템상의 부서, 과, 팀 등과 가장 유사한 코드로 볼 수 있는데, 필요에 따라 그 이하의 단위로 Cost Center를 설정하거나, 생산공정을 하나의 Cost Center로 놓을 수도 있다. Cost center는 간접비를 관리하는 기본 단위이고, 기본적으로 SAP에서는 관리회계 View의 조직코드이지 재무회계 View의 단위는 아니라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매출채권을 Cost Center별로 관리하는 방식은 지원되지 아니한다. 특징적으로 Cost Center는 계층구조(Hierarchy)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회사의 실제 조직구조를 Cost Center Hierarchy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며, 표준계층구조(Standard Hierarchy) 이외에, 여러 가지 다른 형태의 계층구조를 표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계층구조를 표현하기 위해 각각의 중간 마디들은 Cost Center Group 이라고 한다.
  Cost-sales accounting 매출원가회계 판매관리와 마테팅의 영역에서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익성분석의 형태. 수익성분석에 사용되는 판매로 인한 수익은 SD시스템(혹은 대금청구시스템)으로부터 청구된다. 대응되는 매출차감항목과 단위원가는 판매거래에 연결된다.
  Cost of goods sales 매출원가  하나의 Client내의 독립적인 조직체. 법률상으로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를 작성하는 것이 요구된다. 독립적인 회사들의 계정을 동시에 관리하기 위해서 여러 개의 회사코드를 하나의 Client에 설정할 수 있다.
  Credit control area 신용관리영역(여신관리영역) 고객에 대한 신용(여신)한도를 특정하고 점검하는 회사내의 조직단위. 신용관리 영역은 하나 이상의 회사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하나의 회사코드를 하나 이상의 신용관리영역에 지정할 수는 없다.
  Credit limit 신용한도(여신한도) 고객에게 부여할 수 있는 최대 신용금액.
  Credit memo 대변메모 손상된 제품의 반환과 같이 customer로부터의 채권을 줄이는 거래. 이와 반대로 vendor에게 상품을 반환하는 경우의 차변메모(debit memo)는 채무액을 줄여 준다.
  Currency 통화 한 나라의 법적인 지불수단.
  Customer 고객 회사로부터 재화나 용역을 구입하고 대가를지불하는 개인이나 회사.(주 SAP R/3에서는 반드시 일반적인 상거래의 거래대상이 아닌 경우에도,
보조부와 마스터 레코드를 통하여 관리를 할 필요가 있는 자산계정
(예;전도금)의 대상을 customer로 부르기도 한다)
  Daily closing       (Day-end closing) 일일마감 거래를 합리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하루의 업무를 마감하면서 취하는 조치. 기업의 경영활동 결과를 일단위로 회계처리하여 집계함
  Debit memo(direct debiting) procedure 직접입금에 의한 대금회수 절차 은행으로부터의 직접입금(Direct debting)에 의한 대금회수절차         -직접입금절차:참고-은행직접임금절차(Bank direct debiting procedure)  -회수절차:참고-은행회수절차(Bank collection procedure)                                     
  Direct debiting procedure 직접차변절차 고객송장을 전자문서방식으로 회수하는 방법에는 두가지가 있다.        -직접차변절차방식(Direct debiting procedure) 참고-은행직접차변절차(Bank direct debiting procedure)                                    -은행회수방식(Bank collection) 참고-은행회수절차(Bank collection procedure)
  Discount ledger 어음할인장 모든 어음에 대하여 만기일, 금액 발행인의 이름 및 주소, 이전 보유자의 이름과 주소, 지급지, 지급인의 이름과 주소, 할인내역 등을 기록하는 장부.
  Discounting (어음)할인 아직 만기가 되지 않는 (환)어음을 은행에 제시하여 만기일까지의 이자(할인)와 수수료를 공제한 금액만큼을 받음.
  Document 전표 거래행위의 증빙자료. SAP는 SAP전표와 송장, 수표, 은행잔고 명세서 등과 같은 일반적인 전표를 구별한다. SAP전표에는 회계전표, 샘플전표, 반복입력전표 등이 있다. 회계전표는 시스템에 사업거래를 기록하고 샘플전표와 반복입력전표는 Data입력을 간편하게 하기위해 사용된다.
Document라는 용어는 SAP의 모듈 전체에서 사용된다. 즉, FI의 Accounting (FI) Document, CO의 CO Document, MM의 Material Document, SD의 SD Document 또는 Sales Document 등이 그 예이다. 재무회계상의 거래나, 물류상의 Transaction에 대해 SAP는 그 거래처리의 내용을 담고 있는 Object를 Document라고 부르기도 한다. 예를 들어 MM의 Material Document라 함은 자재전표로 해석할 수도 있으며, 원재료, 제품 등의 입고, 출고, 이동 등의 기록을 담고 있다.
FI의 Document는 회계전표(Accounting Document)를 말한다. FI의 회계전표는 Header와 Line Item의 2단계 구조로 되어 있으며, Header에는 그 전표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사항들(예를들어, 전표유형, 기표일자, 증빙일자, 거래통화, 회사코드, 적요, 참조번호 등)이 저장되며, Line Item에는 차/대변 각각의 계정관련 사항들(Account, Posting key, 금액, Cost center, 참조번호, 적요 등)이 저장된다.
  Document currency 전표통화 전표가 전기(posting)될때 사용되는 통화.
  Document date(FI) 원시거래일 원시증빙(예;Invoice)이 생성된 날짜. 원시거래일은 거래기록일(Posting data)와 틀릴 수 있음
  Document entry 전표입력 전표를 SAP R/3 시스템으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입력하는 것. 수동입력은 관련된 거래에 따라 거래의 입력을 위해 특별히 고안된 몇가지 화면들을 통하여 이루어 진다. 자동입력은 Dialog Interface를 통하여 수행된다. 
  Document header 전표헤더(표제부) 증빙일자 또는 원시거래일(document date)이나 전표번호와 같이 전표전체에 적용되는 정보를 갖고 있는 전표의 일부분.
  Document number 전표번호 한 회계연도에 있어서 하나의 회사코드내의 각각의 전표를 구분하여 주는 key.
  Document principle 전표작성원칙 기표는 항상 전표의 형태로 이루어진다는 원칙. SAP R/3에서는 이것을 '전표없이는 기표없다(No posting without a document)라고 표현한다. 전표는 하나의 완성된 단위로 보관되며 Database에서 별도 이관(Archive)되기 전까지 항상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SAP R/3의 회계전표에는 "하나의 전표에는 하나의 거래를 기록(One Invoice(Transaction) = One Document)"하는 원칙이 적용되며 이를 Document Principle 이라고도 한다. 즉, 기존의 회계전표에는 여러 거래의 내용을 축약하거나 복합하는 이른 바, "복합분개"의 형식으로 기표를 하는 관행이 허용되었으나, SAP에서는 이것이 제한되고 있다. 하나의 전표에 여러 거래를 기록하면, 정보가 혼재 된다는 업무상의 제약도 있을 수 있으나, SAP의 구조상 복합분개를 하게 되면 전표생성자체가 불가한 경우가 있거나, 전표생성은 되더라도 이후의 프로세스나 정보추출에 장애를 받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관계사와의 거래와 일반거래처와의 거래를 한번에 기표 처리하는 것을 불가능하며, AR과 AP 발생거래를 하나의 전표로하는 경우 차후의 부가세정보추출이나 CO-PCA로의 Data 이체상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따라서, Document Principle은 차후의 정보 Processing을 원할하게 하는것을 보장한다. 다만 End User 입장에서는 이러한 원칙 때문에 전표입력이 기존 시스템보다 번거롭거나 복잡해지는 것으로 느낄 수도 있으므로, 전표입력을 쉽게 하는 CBO를 행하기도 하는데, 신재무시스템에서도 "유형별 전표입력" 기능을 개발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돕고 있다.
  Document type 전표유형 기표되어야 할 거래와 어떤 형식의 계정을 계정에 기표를 할 수 있는가(예 customer계정, vendor계정, G/L계정)를 구분하여 주는 key.
전표유형은 전표의 filing을 통제하고 전기되어야 할 계정유형(account type)을 결정하여 준다. 
  Down payment 계약금(선수금,선급금) 아직 생산되거나 제공되지 않은 재화나 용역에 대한 지급액. 계약금(선수/선급금)은 대차채조표상에서 다른 채권이나 채무와 별도로 표시된다. 즉 지급한 계약금(선급금)은 자산으로, 지급받은 계약금(선수금)은 부채로 재무제표에 표시된다
  Down payment request 계약금지급요청 어느 특정시점에 계약금(선수/선급금)을 지급하여 달라는 요청. 계약금지급요청은 시스템에서 별도로 저장된다. 계약금지급요청은 월 차변 및 대변잔액을 새로운 금액으로 수정하지는 않지만(참조주의항목[noted item]) 독촉이나 자동지불 거래시에 이용된다. 
  Drawee(of a bill of exchange) (환어음의) 지급자(인수자) (어음의)지불요구를 받는 자. 지급자는 어음의 만기일에 약속한 금액을 지불할 의무가 있다. 
  Drawer(of a bill of exchange) (환어음)의 발행인 환어음을 발행하는 자. 발행인은 지급자에게 어음대금을 지급할 것을
지시하며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소구에 대하여 2차적인 책임을 진다. 만일 지급자가 어음 대금을 상혼하지 않으면 발행인이 채무를 부담하게 된다
  Due date (FI) 만기일 채무자가 채권자에게 상환을 해야 하는 기일. 특히 어음거래를 시스템에 입력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만기일을 입력해야 한다. 
  Due date for net payment 무현금할인지급만기일 현금할인을 받을 수는 없는 상태이지만 미지급채권을 지급해야 하는 만기일. 
  Due data interest caculation 만기이자계산 참고) 개별항목이자계산(Item interest caculation
  Dunning area 독촉영역 독촉절차를 위해 사용되는 회사코드내의 조직단위.
독촉절차의 관리와 독촉장의 송부는 독촉영역별로 분리되어 수행된다. 독촉영역은 부서, 유통채널, 판매조직, 손익센터(profit center) 또는 활동영역(business area) 등으로 정의할 수 있다. 
  Dunning block   촉촉방지 상환기일이 지난 개별 매출채권에 대한 지급이행을 실시하도록 촉구하는 것을 막음
  Dunning block indicator 독촉방지표시자 특정 customer계정이나 개별항목들(line items)에 대하여 독촉절차가 수행되지않도록 하는 표시자. 독촉방지표시자는 customer의 마스터 레코드나 개별항목에 입력시킬 수 있다.
  Dunning key 독촉구분키 미결 항목이나 통지항목(notified item, 예지급통보된 항목) 등과 같이 별도로 독촉절차를 취해야할 항목을 구분해주는 key.
  Dunning level 독촉수준 한 항목에 대해 몇번 독촉을 하였는가를 특정하는 자리수. 
  Dunning procedure 독촉절차 어떻게 customer나 vendor를 독촉할 것인가에 관한 절차.
각각의 절차는 독촉수준의 수, 독촉의 빈도, 독촉장의 문구 등을 결정하여 준다. 유사어: 독촉유형(dunning type)
  Entry automatic 자동입력 다음과 같은 특정 유형의 거래를 입력하는 경우에 시스템이 자동으로 관련되어 자료를자 자동으로 계산하여 전기(posting)를 하여 준다
- 매출부가가치세(output tax)와 매입부가가치세(input tax)의 전기
- 외환차손익의 전기
- 현금할인비용 및 이익의 전기
모든 자동입력은 별도의 개별항목으로 기록된다.
유사어) Automatic Posting (자동전기) 
  Exchange rate 환율 상이한 두 통화간의 금액상 전환 비율. 환율은 특정금액을 다른화폐로 전환할 때 사용된다.
  Exchange rate difference 외환차손익 외화표시자산, 부채를 환산하는 경우 발생하는 차이. 
  Expense 비용 기업의 경영활동에 수반하여 발생된 또는 발생된 것으로 간주되는 재화나 용역의 소비에 해당하는 금액
  Factoring Factoring 무역에서 언급되는 재무활동의 한 형태. 은행 또는 금융회사가 해당회사의 매출채권 또는 환어음을 구입해줌으로써 그 히사에게 현금을 지급하는형태. 참고) Forfeiting
  FI (Finance) FI (Finance): 재무회계 총계정원장, 외상 매출/매입, 특수원장, 고정자산회계, 연결재무제표로 구성되며, GAAP, IAS와 GoB 등의 국제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회계 표준을 모두 이용할 수 있어서 다양한 국가의 특이한 비즈니스 요구사항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음.
  FI의 조직구조(Organization Structure) FI의 조직구조 - SAP의 재무회계관련 모듈에서 사용하고 있는 조직코드는 회사코드(Company Code)와 Business Area이다.
- Company Code는 일반적으로 "법률적으로 독립적인 회사단위로서 외부공표목적의 재무제표가 산출되는 범위"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상법상으로 등기되어 있는 회사(삼성전자, 삼성전관 등)를 하나의 Company Code로 등록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그런데 여기서 시스템적으로 중요한 것은 Company code가 재무제표가 산출되는 단위라는 것이다. 즉, SAP내에서 일어나는 모든 회계상의 거래는 Company code로 설정된 단위로 집계되어 대/차 균형이 맞는 재무제표를 산출하는 것이 시스템적으로 보장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어떤 회사가 회사 이하의 단위(예를 들어 사업부)에서 완벽한 형태의 재무제표를 산출하기를 원하는 경우 사업부를 Company code로 설정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에 파생될 수 있는 추가적인 Issue(결산이나 기표방식 등)에 대해서는 깊은 검토가 전제되어야 한다.
- Business Area는 회사가 아닌 단위로서 재무제표가 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단위이다. 여기서 유의할 것은 시스템적으로는 Business Area와 Company code간에 연결관계는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하나의 시스템을 여러 회사가 공유하는 경우 회사차원을 넘는 Business Area 중심의 재무제표를 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하나의 회사가 하나의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을 가정하면, 일반적으로는 Business Area는 회사이하의 조직단위로 설정하여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사업부, 사업본부 등을 Business Area로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Field status 필드상태 개별 항목(Line Item)을 입력할 때 특정 필드가 필수요소인지, 선택사항인지, 아니면 필요없는 내용인지를 명시하는 표기. 즉,  입력화면상의 필드가 단지 입력준비상태인가 혹은 반드시 입력을 해야하는가를 특정하는 표시자. 필드상태는 주로 총계정원장과 전기키(Posting Key)에 따라 좌우된다.
  Financial budgeting 재무예산 판매계획, 생산계획, 구매계획, 투자계획, 인적자원계힉 등의 결과나 요구사항을 고려한 이용가능한 재무적 자원을 중,장기적으로 이용하여 만든 것. 
  Fiscal year 회계연도 회사가 정기적으로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를 작성하는 기간으로 일반적으로 12개월임. 12개월보다 적은 기간을 하나의 회계연도로 하는 것도 허용됨. 
  Fiscal year(FI) 회계연도 일반적으로 회사가 재고목록과 대차대조표를 작성하는 12달간의 기간. 회계년도는 달력 년도(1년)에 일치할 수 있지만 꼭 그래야 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상황에서는, 12달 보다 적은 회계년도가 허용되기도 한다. (short fiscal year)
  Foreign currency 외국통화 하나의 회사코드와 국가에서 쓰이는 통화(자국통화, local currency)이외의 통화. 
  Foreign currency balance sheet account 외화계정 외화로 관리되는 계정. 예를 들어 외화계정은 외화은행계정을 나타내는 데에 사용된다. 
  Foreign currency valuation 외화평가(외화환산) 외화로 기표된 자산 및 부채의 값을 현지통화로 계산하는 절차. 외화평가는 개별적으로, 즉 미결항목수준에서 발생한다. 한 계정이 미결항목으로 관리되지 않는 경우 계정잔액이 평가된다. 
  Gantt chart 간트챠트 특정기간의 일정계획 등을 조회, 변경 가능한 챠트.
  General ledger 총계정원장 모든 총계정원장의 계정을 갖고 있는 장부.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는
총계정원장을 근거로 하여 만들어 진다
  G/L account(FI) 총계정원장 계정 총계정원장에서 관리되는 계정과목.
  G/L account master record 총계정원장 계정마스터 레코드 G/L계정의 관리나 데이터의 입력을 통제하는 정보를 갖고 있는 데이타
레코드. 통화등이 한 예이다. 
  General maintenance task list(PM) 일반보전 작업 리스트 기술적 객체와 관련한 보전 작업이 수행되는 표준화된 작업 순서.
일반보전작업절차는 특정 객체와 연결되어 있지 않다.
이는 유지보수 작업과 관련되는 모든 operation, material, maintenance resource(보전자원)들을 포함한다.
일반보전작업절차는 보전주문시 작업일정 계획수립을 돕는다. 무엇보다도, 보전계획시 참조하거나 복사할 수 있어서, 보전계획 생성을 보다 쉽게 해준다.
  Group 그룹 하나의 회사(controlling company)에 의해 공통적인 관리를 받는 법률상으로 독립된 회사의 집합. 법률상으로 그룹은 연결재무재표를 작성하여야 한다. (주 우리나라의 경우 연결기업회계기준과 주식회사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연결재무재표의 작성범위가 규정되어 있다)
  Guarantee  보증 이해당사자인 권리자 갑에 대한 또 다른 이해당사자인 의무자 을의 의무 불이행시 이에 대해 제3자가 대신하여 책임질 것을 약속함
  Guarantee of payment 지급보증 지급보증제공자(guarantor)가 제3자(주채무자)의 채권자에게 주채무자의 의무이행을 책임질 것을 약속하는 계약.
지급보증에 재무제표에 대한 주석사항으로 공시된다. 
  Head office account 본점계정 SAP R/3내의 customer나 vendor에게 존재하는 본점과 지점의 관계를 나타내는데에 사용되는 계정. 구매요청서, 배달증명서(deliveries), invoice는 지점계정에 기록이 되지만, 반제는 본점계정을 통하여 이루어 진다. 
  Input tax 매입부가가치세 판매처에 의하여 부과되는 세금. 매입부가가치세는 과세당국에 환급을 요청할 수 있다. 
  Intercompany document number 관계회사전표번호 법률적으로 또는 사실적으로 특정한 관계가 있는 관계회사간 거래에서 발생하는 모든 전표에 하나의 번호가 부여된다.
  Intercompany posting 관계회사간 기표 두개 이상의 회사코드가 관련되는 기표. 시스템은 관련되는 각 회사코드에 대해 전표를 생성하여 준다. 관계회사간 거래를 사용하여 중앙집중적인 판매나 지급(central sales or payment)을 기록하게 된다. 
  Interest 이자 타인의 재화를 이용하는 대가로 지불하는 금전적인 반대급부
  Interest on arrears 연체이자 채무지급의 만기일이 지난 경우에 customer에게 부과하는 이자. 
  Interest on the balance 계정잔액이자계산 어떤 계정잔액에 대하여 이자를 계산하는 절차. 예를 들어 종업원대여금에 대한 이자를 이 기능에 의하여 계산한다. 만기가 지난 customer계정등에 대해 연체이자를 계산하는 것과는 구별된다. 
  Invoice 송장 판매하는 재화나 용역의 내역, 수량, 금액 및 부각가치세 등과 같은 정보를 고객(Customer)에게 보여주는 증빙.(세금계산서, 송장 등)
  Invoice reference 송장연결번호 지급조건을 복사(copy)하고 올바른 항목에 대해 지급보증을 하기 위해, 개별항목(line item)과 기표된 invoice의 개별항목사이를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송장연결 번호는 시스템이 전표의 개별항목에 invoice의 전표번호를 부여함으로써 만들어진다. 예를들어 부분지급(partial payment)이나 invoice와 관련된 대변메모(credit memo)의 경우에 사용된다. 
  Item interest calculation 개별항목이자계산 하나의 개별항목의 만기일과 지급일사이의 기간에 대한 이자계산
유사어) 만기일이자계산(due date interest) 
  Items 분개항목 참고) 만기일 이자계산(Line items)
  Journal 분개장(분개목록) 한 기간의 모든 전기사항을 열거한 것으로 언제든지 적시에 생성될 수 있다. 즉, 회계연도 중 특정기간동안에 기입된 모든 사항들을 정리해 놓은 목록으로 흔히 전표 유형에 따라 분류한다. 원하는 때에 언제든지 준비할 수 있다.
  Ledger 원장 시스템이 유지보수하는 일련의 연관관계를 가진 계정 잔액들은 적어놓은 장부. 한 예로 시스템은 항상 G/L계정들을 기록하는 원장을 관리한다.
  Liabilities 부채 기업이 부담하고 있는 채무
  Line item 개별항목 거래의 세부내역을 담고있는 전표의 일부분으로 금액, 계정번호 및 항목이 대변항목인지 차변항목인가 등을 비롯한 기타 거래의 종류에 따라 포함 되어야 할 정보.
  Line item display 개별항목표시 계정내의 개별항목의 표시. 이에 대한 전제조건은 계정들이 개별항목표시가 되도록 관리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시스템에 의하여 customer나 vendor계정에 있어서는 항상 개별항목표시가 가능하다. 하지만 G/S계정의 개별항목표시를 하기위해서는 그 계정의 마스터 레코드에 미리 설정을 해 놓아야 한다. 
  Liquidity 유동성 개인이나 회사가 예정된 지급의무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능력. 
  List of charts of accounts 계정과목일람표목록 한 client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모든 계정과목일람표의 목록
  Master data 마스터데이터 상당한 기간동안 변경되지 않고 남아 있는 개벌대상에 관한 Data. 마스터데이타는 유사한 대상에 대하여 똑같은 방식으로 사용되는 정보를 갖고 있다. 마스터데이터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구매처의 마스터데이너는 이름, 주소, 은행관련정보 등을 갖고 있다.  - SAP R/3시스템에서 사용자에 관한 마스터데이터는 사용자의 이름, 권한에 관한 내용, 기본적을 사용되는 프린터 등의 정보를 갖고 있다.   ☆ 일반적으로 SAP의 Data들의 종류는 Configuration Data, Master Data, Transaction Data로 구분하는데, Configuration Data는 Customizing 작업에서 설정한 값들을 의미하는 것이고, Transaction Data는 물류, 회계 등에 걸쳐 실제의 거래처리를 한 Data들을 의미한다. Master Data는 Master Record라고도 부르는데, 각종 모듈에서 사용되는 주요 기준 정보들을 말한다. 각 모듈별로 사용되는 중요한 Master Data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FI : G/L 계정, Customer, Vendor, Asset, Bank 등
- CO : Cost Center, Cost Element, Activity Type 등
- 물류 : Material, BOM, Routing, 가격결정관련 기준정보 등
  Message line 메시지 라인 작업수행결과를 Display 해주는 기능
  Month-end closing 월간마감(월차결산) 하나의 전기기간을 마감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모든 업무.               유사어) 주기적인 결산(Periodic closing)
  Monthly debits and credits 월 차변금액과 대변금액 한 계정에 전기된 모든금액의 합계로서, 거래기록대상기간(posting period)과 차변 및 대변으로 구분되어 표시된다. 각 거래기록대상기간의 잔액과 누적잔액도 표시된다.
  Net (invoicing) procedure 현금할인차감후 순금액기록 절차 invoice를 전기할 때 기대되는 현금할인 금액을 자동적으로 차감하여 원가나 재고자산을 기록하는 절차. 예를 들면 이 기능을 이용하여 현금할인을 차감한 정확환 고정자산의 취득금액으로 전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 유사어 현금할인차감후 순금액기표(net posting) 구매처 현금할인차감후 순금액기록절차(vendor net procedure) 
  Net posting 현금할인차감후 순금액 기표(기록절차) 참고) 현금할인차감후 순금액기록절차(net procedure)
  Number range (FI) 번호 범위 문서 번호 할당에 사용되는 번호의 범위. 두가지 유형의 번호 할당이 있다.
·내부(internal) - 즉, 시스템에 의해 자동 수행된다
·외부(external) - 즉, 사용자가 수동으로 수행한다.
  Offsetting entry 상대계정입력 복식부기의 원리에 따라 거래를 기표하는 경우의 반대(상대)계정(차변이나 대변)의 입력. 
  One-time account 일회용계정 거래가 한번 혹은 매우 드물게 이루어지는 거래상대방을 관리하는 일회용계정. 모든 일회용계정에는 하나의 특별한 마스터 레코드가 필요하다. 주소나 은행관련 자료와 같은 거래상대방에 대한 데이터는 마스터 레코드에는 입력이 되지않고 전표 자체에만 입력이 된다. 
  Open item management 미결항목관리 한 계정내의 미결항목은 같은 계정내의 다른 항목에 의해 반제가 되도록 하는 것. 한 계정내의 개별항목을 반제하는 경우 차변금액은 반드시 대변금액과 같아야 한다. 따라서, 계정잔액은 항상 미결항목의 합계이다. 
  Original document 원시증빙 기표가 정확함을 증명하는 역할을 하는 증빙. 
  Output tax 매출부가가치세 생산이나 매매의 경우 고객에게 부과되는 세금. 과세당국에 납부할 금액이 된다. 
  Partial payment 부분지급 미결된 invoice금액의 일부만을 지급하는 것. 
  Payables 채무 은행차입금, 매입채무, 선수금과 같은 회사의 확정된 부채로서 발생원인, 금액, 만기일 등이 관련된다. 
  Payee, alternative 대체수취인 본래 채무액을 지급받아야 할 vendor가 아닌 자로서 지급을 받는 자. 예 채권의 양도 
  Payment advice 지급명세서 물품의 수령, 지급액의 수령, 신용장(무역거래시)의 수령 등을 문서로서 통지하는 것. 
  Payment block 지급블럭 미결항목이나 계정에 대한 대금이 지급 프로그램에 의해 결제되는 것을 막는 표지. 고객이나 구매처 마스터레코드 또는 개별항목에 지급블럭을 설정할 수 있다.
  Payment blocking indicator(payment block) 지급방지표시자 개별항목이나 한 계정에 대해 지급프로그램(payment program)에 의한 자동지급이되지 않도록 하는 표시자. 지급방지표시자는 customer나 vendor의 마스터 레코드 또는 개별항목에 표시할 수 있다.
  Payment history 지급이력 고객의 지급형태를 분석한 것으로 특히 체불이나 현금 할인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Payment history analysis 지급추이분석 customer에 대하여 만기일을 지나서 지급한 경우나 현금할인을 활용할 경우 등에 관한 분석.
  Payment method 지급방법 대금처리를 어떻게 할 것인가(지급절차)를 의미함. 즉, 수표, 어음, 계좌이체 등을 이용한 외화지급 등이 있다.
  Payment notice 지급내역확인요청 지급사실을 확인하거나 지급금액의 차이 또는 지급액의 해당항목을 확실히 밝혀 줄것을 요청하기위해 고객이나 내부부서에 의사전달을 하는 것. 
  Payment on account 계정지정지급 특정 invoice나 특정거래를 지정되지 않고 하나의 계정에 대해 이루어진 지급액. 이것은 계약금이나 부분지급과 다르다.
  Payment transactions 지급거래 채권의 회수 또는 채무의 지급을 처리하는 것. 
  Period-end closing 기간말 결산 참고) 월말 결산(Month-end closing)
  Planned item 계획항목 예상되는 회수액이나 지급액을 계획항목으로 입력한다. 이러한 항목들은 현금예측과 관련된다.
  Planning group 계획그룹 현금관리와 예측에 있어서 customer와 vendor를 계획그룹으로 지정하는데, 이러한 계획그룹은 다음과 같은 사항과 관련되는 특성, 거래의 위험이나 형식 등을 반영한다.
- customer 은행회수
- customer 위기영역(crisisarea)
- vendor  연결그룹의 member
이렇게 함으로써 현금의 유입과 유출에 관한 예측의 신뢰성에 따라 현금예측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Planning level 계획수준 계획자료의 원천. 계획수준은 다음과 같은 전형적인 재무거래를 반영한다.
- 은행계정에의 FI기표
- 관리목적용 임시계정(clearing account)에의 FI기표
- 확인/미확인된 지급통지(payment advice)
계획수준은 현금관리포지션과 현금예측을 좀 더 분명하게 표시하게 해준다 계획수준은 자료의 원천을 설명하여줌으로써 그 신뢰성을 추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 준다. 
  Posting block 기표방지(전기블럭) 특정계정에 전기(posting)가 되지 못하도록 하는 표시. 중앙에서 모든 회사코드에 대하여 계정을 블럭하거나 하나의 회사코드만을 대상으로 계정을 블럭할 수 있다.
  Posting data 거래기록일(전표일, 기표일) 발생한 거래가 실제로 장부에 입력되는 날짜
  Posting key 전기키 전표의 개별항목의 입력을 통제하는 두자리수의 key. 포스팅 키는 다음과 같은 것을 특정한다
- 계정유형
- 차변 또는 대변기표의 구분
- 입력용화면의 배치 
  Posting period 전기기간(거래기록 대상기간) 한 회계년도내의 일정 기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을 하나의 달(Month)이 거래기록 대상이 된다. 시스템은 전표의 표제부(Header)에 있는 거래기록일(Posting data)에 따라 모든 전표들을 특정한 거래기록대상기간에 기록을 한다. 이 기간내의 누적금액을 시스템에 의해 계속 새로운 금액으로 수정되어진다. 
  Posting, automatic 자동기표 어떤 절차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생성되는 기표. 다음과 같은 것이 예이다
- 부가가치세관련 기표
- 외환차손익관련 기표
- 현금할인수입 또는 비용 관련 기표
각각의 자동기표는 별도의 전표상의 개별항목으로 표시된다. 
  Posting, statistical 전기.통계(비망항목기표) 상대계정입력(offsetting entry)이 특정한 관리목적용 임시계정(specified clearing account)에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특별 G/L거래(special G/L transaction)의 기표. 예지급보증을 받은 경우. 
  Posting, to a prior period 전기분 기표 이전 기간에 대한 기표
  Profit and loss ststement 손익계산서 유사어) 손익계산서(Income ststement)
  Quant Data 품질정보 AP에서 정의하는 Quant Data는 해당자재의 정량부분(치수,중량,경도,회전수 등등..)의 Spec을 말한다. 만일 해당자재를 검사규격에 등록하고 정확한 정량 Spec를 입력치 않을시는 검사규격에서 정한 대표 치수를 인식한다.
  Quotation (MM) 견적 Material을 공급하거나 용역을 제공하는 vendor의 의사 표명. Vendor의 가격과 조건들이포함되있고 견적 요청(RFQ)에 응답하여 제출된다.
  Quotation type  견적 유형 견적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견적 type으로 QT(customer quotation type)을 입력하여 사용
  Ratios 비율 한 기업의 영업실적등을 측정하기위한 모든 종류의 계량화된 수치들. 업적평가, 수익성, 생산성, 유동성의 회사내부 또는 회사간 비교에 비율들이 사용된다. 예) 종업원 1인당 매출액. 재고자산회전율.
  Receivable 매출채권 대차대조표에 유동자산으로 구분되며 일반상거래에서 발생한 외상매출금. 관계회사외상매출금 등으로 구분된다. 
  Reconciliation account 조정계정 보조부(Customer, Vendor, Asset)의 거래가 자동적으로 반영이 되는 G/L계정. 
  Recurring entry 반복분개 정기적으로 반복되어 입력되는 Data. 반복입력 프로그램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Data를 반복적으로 전표를 기준으로 전기(posting)한다. 예를 들면 은행이 지속적으로 일정금액을 지급하는 경우와 비슷하게 임차료, 보험료, 융자 등을 반복 입력 사항으로 설정할 수 있다.
  Recurring entry document 반복분개전표 전표를 주기적으로 생성하는 반복분개프로그램의 표준역할을 하는 특별한 전표
  Reference document 참조전표 전표를 입력하는 경우 참조로 사용되는 전표. 이미 기표가 이루어진 일반적인 전표나 견본전표(sample document)를 참조전표로 사용할 수 있다. 
  Regional code 지역코드 SAP R/3시스템에서 주소를 구분하기위해 사용되는 key. 지역코드는 몇 나라에서 주소의 일부로 정해져 있다.(우편번호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보임) 
  Reserve for bad debt 대손충당금 채권금액 중 미래에 회수가 불가능하다고 추정되는 금액에 대하여 설정하는 충당금. 예)외상매출금의 대손충당금
  Residual item 잔여항목 미결항목을 반제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차이금액(Invoice금액과 지급액의 차이). 즉, 송장항목의 금액과 지불된 금액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항목. 고객이 지급한 부분 대금을 전기하면서 미결항목을 반제할 때 시스템은 잔여항목을 이월시킨다.
  Revenue account  수익계정 기업의 영업활동의 반대급부로서 발생하여 기업내로 유입되는 재화나 용역의 금전적 가치
  Reversal 역분개 기표된 금액의 반대쪽애 동일한 금액을 기표함으로써 기표된 것을 취소하는 것.
  Rollup Rollup 집계를 위한 원장에 Data를 어떻게 집계하는가에 대한 정의. 상위 레벨의 보고서 및 평가를 위해 원장에 지나치게 상세한 Data가 기록될 수 있는데 이러한 세부 Data가 하나 혹은 여러 개의 하위 원장에기록되고 Rollup원장으로 요약 집계된다. 세가지 형태의 Rollup이 있다.          - 표준 Rollup : 하나 혹은 그 이상의 Rollup 순서를 정의하고 그에 따라 Data를 하나 혹은 그 이상의 Rollup원장에 집계                     - 계층적 Rollup : 특정한 계층구조에 따라(예; 원가중심적 계층구조) 하나의 Rollup 원장에 Data를 집계                                    - Expert Rollup : 지역시스템으로부터 중앙시스템으로 Data를 집계
  Sample account 견본계정 특수 G/L 계정 마스터 레코드로 G/L 계정 마스터 레코드 중 특정 회사 코드에 공통적인 부분을 만들고자 할 때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기본값들을 담고 있다.
  Sample document 견본전표 특별한 형태의 참고전표(Reference document)로서 회계전표를 입력할때 사용자가 하나의 보기로 참조할 수 있도록 기본 Data를 포함하고 있는 특수한 유형의 참조 전표이다. 일반적인 회계전표와는 다르게 견본전표는 계정잔액에 영향을 미치지않고 회계전표에 Data를 제공하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다. 즉, 일반적인 전표와는 달리 견본전표는 월 차변 및 대변잔액을 수정하지 않는다. 다만 전표의 자료원천으로 사용된다.
  Scheduling agreement 일정계획에 의한 공급계약 일괄계약(outline agreement)의 한 형태(장기간, volume 구매 협약). 일정계획에 의한 공급계약은 지정한 자재의 납입일정을 작성하고 지속적으로 갱신하도록하는 고객과 협력업체간의 장기적인 계약형태이다. Delivery scheduling agreement는 vendor와 고객의 장기 협약으로, 협약의 각 항목에 지정되있는 material들의 배달 일정(vendor 일정)의 생성 및 갱신을 수반한다. 
  Sorting conception 구분(분류개념) 계정의 개별 항목들이 화면 출력될 때 분류되는 방식 즉 서로에게 할당되거나 그룹으로 묶인다. 유사어) 배분(Allocation)
  Special G/L account 특별 총계정원장 계정 보조부상의 특별한 거래(선수금, 선급금, 어음, 보증금, 지급보증 등 판매나 구매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되지 않는 거래)를 기록하기 위한 조정계정(reconciliation account)으로 일반적인 조정계정과 구분된다. 
  Special G/L indicator 특별 총계정원장 거래표시자 특별 G/L거래를 구분해 주는 한 자리로 된 표시자. 특별 G/L거래에는 계약금과 (환)어음, 보증금, 지급보증 등이 있다. 
  Special G/L transaction 특별 총계정원장 거래  총계정원장과 보조부(customer계정, vendor계정)에 별도로 표시되는 매출채권과 매입채무의 특별한 거래. (환)어음, 계약금과 지급보증 등이 있다. 
  Special period 특별거래기록대상기간 결산업무를 위해 마지막 거래기록대상기간(예를 들면 12월)과 구분되는 특별히 설정한 거래기록을 하는 기간. 
  Subsidiary ledger(sub-ledger accounting) 보조부 외상매출금, 외상매입금, 고정자산 등의 기록에 사용된다. 보조부는 G/L의 조정계정(reconciliation account)에 전기(posting)된 전표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해주는 역할을 한다. 
  Summary data 요약자료 기표된 금액이나 수량에 관한 정보의 (분석목적의) 요약형태. 
  Supplementation 보충작업 전표입력과정 중 자동으로 생성된 전표의 개별항목을 수작업으로 보충하는 것. 
  SWIFT code (SWIFT코드)  SWIFT코드 Society for Worldwide Interbank Financial Telecommunnication. 해외지급거래에 있어서 은해의 주소나 번호가 없이도 SWIFT코드(세계적으로 표준화되어 있음)를 통해 은행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자동지급거래를 위하여 필요하다. 
  Tax amount 세금 영업세, 원천징수된 세금, 매출부가가치세, 매입부가가치세 등으로 기표되어 과세당국에 보고해야 하는 금액. 
  Tax base amount 과세표준 세금계산의 대상이 되는 금액. 나라에 따라 현금할인액이 (부가가치세의)과세표준에 포함되거나 제외된다. 
  Tax code 세금코드 세금을 구분하고 계산하는데에 필요한 정보를 나타내는 두자리 코드. 세금코드에서 규정하는 정보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세율
- 세금종류(매입부가가치세 또는 매출부가가치세)
- 계산방법(%포함 또는 %제외) 
  Taxes on Sales/Purchases 판매/구입세 매입부가가치세와 매출부가가치세에 사용하는 일반용어. 나라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 미국  GST, PST
- 영국  VAT
- 프랑스 TVA
- 스웨덴 MOMS 
  Terms of payment 지급조건 거래대금의 지불에 대해 거래상대방과 합의한 조건. 
  Tolerance 허용편차 어떤 값으로부터 허용되는 편차. 
  Transfer 이전 동일 계열사의 주식의 일부 혹은 전부를 같은 계열내 타사에 매각하는 거래행위 혹은 재분배로 인한 예산의 이전
  Transfer posting 대체기표 이미 기표된 금액을 한 계정에서 다른 계정으로 기표하는 것. 예를 들어
대체기표는 예비적인 결산작업을 하는 경우에 생성된다. 
  Transitory account 임시계정 참고) 관리목적용 임시계정(Clearing account)
  Translation date 환산일 금액을 다른 통화로 환산하는 기준일. 
  UD Code   합격/불합격 코드 최종 합격, 불합격을 입력하는 항목들을 모아놓은것을 말하며,
 보통 A:합격, R:불합격 코드를 나타낸다.
  Unrestricted-use stock  즉시출고 가능한 재고 즉시출고가 가능한 재고량
  Unrestricted-use stock (MM) 즉시출고 가능한 재고 아무런 사용 제한이 없는, 회사 소유의 material 재고.
  Usage decision (QM) 용도 결정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검사 lot의 처리에 관한 결정. SAP 시스템에서, 검사 목록의 목록유형은 가능한 용도 결정을 포함한다.
  Valuation 가치평가 법률상의 요건(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으로 해석됨)에 맞추어 특정 시점에 고정자산이나 유동자산에 속한 모든 상품이나 채무액의 가치를 계산하는 것. 
  Value-added tax 부가가치세 매출부가가치세(output tax)와 매입부가가치세(input tax)에 관한 일반용어. 
  Vendor 벤더, 공급업체, 구매처 재화나 용역을 제공하여 대가를 받는 거래의 상대방. 
  Vendor master record 벤더 마스터 레코드 거래를 기록하는데에 필요한 vendor에 관한 모든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 레코드로서 주소나 은행관련 자료가 그 예이다. 
  Vendor net procedure 벤더 현금 할인 차감후 순금액 기록절차 참고) 현금할인차감후 순금액기록절차(Net procedure)
  Withholding tax 원천세 invoice 금액의 일부. 몇몇 나라에서는 invoice금액의 일부를 vendor가 원천징수 하여 과세당국에 보고하고 납부하여야 한다. 
  Year-end closing 연말결산 년간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로 현지의 법 규정에 맞도록 작성되어야 한다. 모든 자산, 부채, 이연항목과 모든 수익과 비용은 GAAP에 따라 제시되어야 한다.